뉴스를 보다가 한 부동산 카페가 1층 매각으로 이슈가 되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2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아파트 1층은 안 사시나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같은 날 ‘부동산 공부’ 카페에도 글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물을 작성한 네티즌은 “조금만 더 내도 높은 층이냐”며 “진심으로 조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고 싶은 부동산이 있는데 가격이 나와 있다”고 말했다. 1층이 매력적이에요” 그런데 “나는 1층에 안 산다”며 다른 멤버들에게 조언을 구했다. 다른 층에서는 ‘유동성’이 낮다는 시각이 많다.
아파트는 층마다 가격이 다릅니다. 1층과 2층, 3층과 8층, 9층과 15층, 16층 이상의 초고층, 최상층 등 그룹화된 층수에 따라 1층과 2층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수요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높이 올라갈수록 전망, 프라이버시, 햇빛 등의 이유로 수요가 더 많아집니다.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하한선이 낮을수록 수요가 적어 팔고자 하는 판매자는 하한선 가격을 할인할 수밖에 없다. 이로써 저층, 중층, 고층 유닛 간의 가격 차이가 자연스럽게 굳어져 문제 없이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지금 1층 매매가 문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1층이 저평가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사에서도 언급했듯이 “1층 가격이 매력적”이라 사고 싶었지만 주변 사람들이 말리니까 문제가 됐습니다. 그렇다면 1층 가격이 이렇게 매력적으로 변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압도적인 수요로 인해 RR, 초고층, 중층 등이 대거 매매되고 있고, 입주 가능한 매물의 호가도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격차가 벌어진 저층 건물 입주 가능 부동산이 저평가 구간에 진입하면서 거래량이 늘어나고 있다. 나의 두 번째 책(부동산 침체에서 살아남기)에서는 “더 비싼 왕실 바닥과 급매물로 선호되지 않는 바닥 중 어느 것이 더 낫습니까?” 에피소드를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부동산 침체에서 살아남기 108p
하락장에서는 유동성을 고려한 수요가 집중되면서 왕족계층이 어느 정도 가격을 방어하고, 하락시장이 심화되고 가격방어가 어려워지면 비우선층은 날아가서 왕족계층과의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된다. 적절한 값. 약세장이 끝나고 강세장이 시작되면 어떻게 될까요? 하락하는 시장에서 왕족과 비우선층 사이에 벌어지는 격차는 시장이 상승함에 따라 다시 좁아집니다. 이 원칙을 알고 있는 일부 투자자들은 현재 동일 시장에서 비우선층을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고 있습니다.
뉴스 기사에 나온 Bub Cafe 이슈를 보면 이미 시장은 하락세를 끝내고 상승세의 시작에 들어선 것 같습니다. 추신: 참고로 1층을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로얄층에 비해 2차 가격보다 넓은지 확인만 하면 됩니다. 인테리어가 다 끝났다고 해도 2층보다 공간이 넓다면 1층을 사더라도 아직 만들 공간이 남는다. 시장이 상승하면 격차가 메워지고 가격은 두 번째 가격으로 좁혀집니다. 그럼 1층은 언제 팔아야 할까요? 1층에 사람이 사는 기간은 두 번 있다. 첫 번째는 지금처럼 상승장 초기에 1층과 RR 갭 사이의 RR 갭이 과도하게 넓어져 1층 가격이 저평가된 경우입니다. 두 번째는 강세장이 끝난 뒤 살 것이 없어 1층까지라도 높은 가격에 사려고 몰려드는 경우다. 첫 번째 기간에 1층을 구매하고 두 번째 기간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불황에서 살아남기 저자 대치동키즈출판 재발간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