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시스템 분야를 감독하려면 정보 시스템 감독 협회에서 부여한 감독자 또는 수석 감독자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감독자 자격을 취득하려면 감독위원회로부터 5일간의 기본 교육을 받은 후 평가를 통과해야 합니다. 평가 결과는 교육 종료 후 10일 후에 통보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공공정보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보시스템 감리는 공공기관에 소프트웨어 구축사업을 발주·감리한 뒤 이뤄지기 때문이다. #정보시스템, #감독위원회, #기초교육
1. 감리 기초교육정보시스템 감리협회는 매년 기초교육과 전문교육의 두 가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감독연수원 개요
기본감리훈련(5일) 정보시스템감리기본훈련(5일, 43시간)은 연간 10회 정도 실시되나, 부산에서 1회 실시하고 일부는 주말에 실시하므로 5일 동안 실시하는 기본훈련의 수가 적다 평일. 커리큘럼 소개 : https://www.kaisa.or.kr/bbs/board.php?bo_table=educationSupervision 기본 교육 자격 – 정보 기술 전공 분야의 기술자 자격을 취득하고 정보 처리 분야에 종사한 사람 해당분야 6년 이상 경력자 (전자계산기 조직응용기사, 정보처리기사, 빅데이터 분석기사, 정보보안/엔지니어 자격 취득 전 경력의 50%를 인정) – 전문직 종사자 자격을 취득한 자 정보기술 전공분야의 산업기사로서 정보처리 경력이 9년 이상인 자 해당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산업기사 자격취득 전 경력) 50% 인정) – 정보통신기술자(경력증명서 미제출) – 정보보호 전문가 1 정보처리분야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 5년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자 – CISA(경력증명서 미제출) 자격증을 취득한 자 유지 보수) 정보 처리 분야에서 5년 이상의 업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9/Prim%C3%A4res_System.png/1200px-Prim%C3%A4res_System.png2. 교육신청 (9/22) 교육신청이 2~3분 안에 마감되는 경우가 많다고 교육담당자로부터 들었기 때문에 신청시간을 준비하고 기다렸습니다. 저의 경우 9월 22일 금요일 오전 10시에 수강신청을 했는데 1분 30초 만에 수강이 완료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교육을 받고자 하시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제8차 정보시스템 감리 기초교육 등록 안내 (1) 교육종류 : 정보시스템 감리 기초교육 (2) 교육정원 : 50명 (3) 교육시간 : 43시간 (4) 교육기간 : 2023.10.23 (월) ~ 10월 27일(금), 5일간 진행 (5) 교육장소 : 정보시스템감리협회연수원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304호) (6) 교육비 : 1,089,000원 (계좌이체만 가능, 카드결제 불가) )3. 서류제출(9/27) 연수를 신청하신 분들은 심사를 위해 필요한 서류를 협회로 보내드립니다. (1) 감독증명서 발급신청서 1부 (2) 신분증 사진파일 (3) 자격증 사본 (4)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강도훈련시간 4. 훈련참석(10/23 ~ 10/27) 최초 얼핏 보면 훈련을 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40~50대인 것 같았고, 30~60대도 있는 것 같았다. 은퇴를 앞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교육은 1일의 이론수업과 4일의 실습으로 구성됩니다. 9시에 시작해서 6~7시쯤 끝나니까 꽤 빡빡해요. 정보시스템감리 기초교육 강의일정 첫날, 강사님이 아주 친절하게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둘째 날 오후부터 연습이 시작됐고 참가자들은 6명씩 8개 조로 나뉘었다. 실습교육은 일반강사 1명과 보조강사 3명이 진행하였습니다. 실습을 해보니 일반강사보다 보조강사가 경험도 많고 가르치는 능력도 더 좋은 것 같았습니다. 5. 평가기준 : 평가는 이론과 실무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평균점수는 60점 이상이고, 불합격점은 40점입니다. 교육 이수 기준 – 평가 채점 기준 : 이론 과목 40%, 실무 과목 60% – 교육 이수 기준 : 총점의 60% 이상 – 교육 이수 기준 미달, 총 출석 시간의 80% 미만, 과목별 배점 40% 이론평가 : 40% – 25~30문항 – 객관식(4지선다) – 40점 이하 낙제 실습평가(감수보고) : 60% – 면접내용 – 감리보고 내용 – 낙제 40점 이하 이전보다 더욱 엄격해진 시험 6. 시험(10/27) 최근 시험이 이전보다 어려워지고 이전 과목을 놓치는 분들도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약 15% 정도의 누락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습니다. 시험은 4지선다 25문제로 구성되었습니다. 질문과 예시가 길 때가 많았습니다. 문제가 그리 쉽지 않기 때문에 미리 시험을 준비해야 합니다. 평균 시험점수는 55점이며, 70점을 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합니다. 이론수업때 강사님이 시험문제가 나온다고 안내해주셨는데, 실제 시험에서는 공개되지 않은 곳에 문제가 꽤 많이 나오더라구요.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공공정보화(SI사업) 경험이 있는 분들은 교육을 잘 듣고 어느 정도 시험에 대비하면 합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끝.